아말감은 치과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한 치과재료이지만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말감의 단점으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말감의 부피 변화가 생긴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아말감과 치아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고 이는 2차충치로 이어지거나 아니면 치아가 파절되는 문제가 생긴다는 점입니다.
아래 케이스를 보면 이를 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전 사진.

큰 어금니 2개에 아말감으로 치료가 되어있고 둘 다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보통 어금니로 뭘 많이 먹기 때문에 치아에 힘이 많이 가해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아말감과 치아 사이 틈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러버댐을 걸고 아말감을 포함하여 내부의 충치 및 약한 부위를 제거해나갑니다.
레진빌드업 치료를 위해서는 러버댐은 필수입니다.
충치를 제거하는 데에 시간을 많이 들이는 편입니다.
충치를 깔끔하게 제거한 후 치아 표면에 접착을 위한 처리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레진으로 치아의 형태를 만들어 나갑니다.

레진빌드업을 통해 위와 같이 치아의 형태를 복원합니다.
레진으로 치아의 형태를 자연스럽게 복원을 하려면 연습도 많이 해야합니다.

레진빌드업이 어려운 이유는 위아래 물리는 관계를 미리 예측해서 형태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입니다.
러버댐을 제거해야 높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높게 쌓아놓으면 힘들게 만들어 놓은 형태를 다 삭제해야 합니다.
그래서 난이도가 높은 치료 중 하나이고,
인레이나 온레이, 크라운치료보다 어려운 이유이기도 합니다.

러버댐을 제거하고 높이도 체크하고 매끄럽게 다듬어야합니다.

전체치료과정입니다.
현재는 시간이 많이 지나서 잘 사용하고 계십니다.
치아 하나하나에 시간을 많이 들여서 치료를 하는 편이라서 치료시간이 걸리지만 그래도 치아를 조금 더 보존하는 방향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편입니다.
치과치료에서는 진단이 중요합니다.
레진빌드업치료를 위해서는 검진을 먼저 진행한 후에 치료계획을 정해야합니다.
따라서 초진 당일에는 레진빌드업 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