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뿌리쪽 구조때문에 재신경치료가 어려운 케이스로 치아재식술을 통해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보통 신경치료나 재신경치료로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외과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외과적인 방법으로는 치근단절제술, 재식술, 발치가 있습니다.
앞니나 작은 어금니까지는 치근단절제술이 가능하지만 큰어금니부터는 치근단절제술이 거의 불가합니다. 왜냐하면 큰어금니의 경우 치아 뿌리로 접근하기 위한 각도가 안 나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큰 어금니의 경우 치근단절제술을 하기보다는 치아 재식술을 통해 치아 뿌리 쪽 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

치아 뿌리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식술을 하기로 합니다.

재식술 당일 사진입니다.
치아 재식술을 위해서는 치아 뿌리를 자른 후 그 부위를 MTA란 재료로 채워넣어야합니다.
MTA는 생체친화적인 재료라서 재식술이나 치근단절제술시에 사용하고 치료 결과도 좋습니다.
재식술을 진행한 후 치아와 뼈가 붙기를 기다립니다.

한 달반 정도 지난 후 치아와 뼈과 잘 붙었는지 확인합니다.
치아의 움직임이 없으면 성공이라고 보면 됩니다.
잘 치유되어 크라운으로 치료를 마무리합니다.

치아 재식술 후 6개월이 지났을 때 촬영한 엑스레이입니다.
큰 이상없이 잘 사용하고 계십니다.

이건 치료 전/후 사진입니다.
이렇게 치아재식술을 이용하면 자연치아를 한번 더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케이스에서 이렇게 재식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치아뿌리쪽으로 치조골소실이 심하거나 광범위한 치주염이 있는 치아 그리고 원래부터 짧은 치아들은 치아재식술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